[ 건배 ]
[ 근데 왜 초콜릿은 없어? ]
[ 응, 초콜릿 대신 술 사주는 거야 ]
[ 이자카야가 아닌 이탈리안으로 해주지..]
[ 이런 이자카야가 사람 냄새 나고 좋잖아,
그리고 이곳은 좀 특별한 곳이야,
우리랑 저 입구에 두 쌍 빼고는 다 외국인이잖아,
여기 사장님이 영국인인데 그래서 손님들이
각국의 외국인이 많아 ]
입구에 들어서면서부터 묘한 느낌을 주는 가게였다.
가게 안의 인테리어와 시설은 완전한 일본
이자카야인데 카운터에 계시는 사장님과
알바생들이 모두 외국인이고 실제로
우리 양 옆에 앉아서 사시미를 맛있게
드시는 분들도 외국인 관광객이 아닌, 일본에서
살고 있는 미국, 유럽쪽 서양인들이 대부분이였다.
[ 여기가 일본인지,,유럽인지,,잘 모르겠지?
온통 영어만 들리니까 ]
[ 응 , 좀 적응이 안 되네...]
[ 오늘 화이트데이니까 좀 이국적인 느낌을
맛보라고 이곳으로 정한 거야 ]
[ 응, 알겠는데..주위 사람들이 모두 서양인이니까
이탈리아 같기도 하고, 지난번 베트남에서
호텔 앞, 맥주광장 같기도 하고,,참 이상해..]
깨달음이 날 향해 뭐라고 하는데 도통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 양 옆에서 영어로
얘기하는 남자분들의 목소리가
너무 커서 3번이나 되물어봐서 겨우 알았다.
[ 뭐 갖고 싶은 게 있냐고 ? 없어 ]
[ 제주도 고사리축제 안 가? 한달살기 한다고
하지 않았어? ]
[ 가려고 했는데 일이 겹쳐서도 못가고,,
정신적으로 좀 여유가 없어 ]
[ 그래도 가족들 다 모이면 잠깐이라도 다녀오지? ]
[ 아니야, 혹 가더라도 날짜가 맞지 않아서 못 봐 ]
나는 이번에 제주도에 못가는 이유를
좀 더 구체적으로 깨달음에게 설명을 하고
4월달 스케쥴을 알려줬다.
[ 바쁘네,,근데 4월에 후배가 일본에 온다고? ]
[ 응 ]
[ 나는 처음 보는 분이야? 여기, 일본어를
못하는 한국분들이 와도 여러가지
주문해서 먹을 수 있으니까 여기 오면 좋겠다 ]
[ 응 ]
[ 내가 그렇지 않아도 블로그 이웃님께 드릴
선물을 준비했는데 ]
[ 갑자기 무슨 선물? ]
[ 집에 가서 보여줄게 ]
그렇게 우린 블로그에 관한 얘길 했다.
[ 당신은 내가 블로그를 하는 게 좋아? ]
[ 응 , 이젠 악플도 거의 없어지지 않았어? ]
[ 응, 많이 없어졌지,,근데 난,,항상 의문인 게
언제까지 할지가 가장 큰 고민이야 ]
[ 그만 하고 싶어? ]
[ 그만 두고 싶은 생각은 늘 하고 있어 ]
[ 왜? ]
[ 그냥,,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것 같아서]
[ 너무 솔직하려고 하니까 힘든 거 아니야?
조금은 포장하고 적당히 덜 보여주면 되는데 ]
[ 지금껏 그렇게 해 왔는데 이젠 그런 포장들도
모두 가식이고 어설퍼서 진짜 내가 아닌,
블로그가 만든 나와 당신이 있는 것 같아서
좀 갈등이 생겨 ]
[ 원래, 캐릭터가 그렇게해서 설정되고
만들어지는 거야 ]
[ 그냥,,난 100프로 솔직하고 싶었거든,,]
[ 아니야, 뭐든지 100%는 재미없어,반전도
있어야하고, 비밀도 있어야 재밌는 거야 ]
[ ............................ ]
8년 가까이 블로그를 하다보니 타성에 젖여
같은 내용들이 중복되고, 사는 게 특별하지 않아
항상 움직임의 반경도 같고, 만나는 사람들도
지금껏 크게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단순히 깨달음이라는 일본인과 결혼을 하고
그렇게 국제커플이 되어 살아가면서 겪는 일들,
그리고 내 나라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살아가며
보고 배우며 느낀 것들을 조금은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애를 썼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흘러
다시 읽어보아도 그 때, 그날의 감정이
고스란히 살아나도록 묘사하려했다.
블로그에 올린 글들이 꼭 특별해야하고,
뭔가 큰 메시지를 안고 있어야할 의무는 없지만
반복된 일상들에 똑같은 에피소드가 몇년째
이어지는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가끔 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이렇게 차분히 깨달음과 블로그에 관한 얘길 하면
결론은 늘 쉬엄쉬엄, 편한 마음으로
정리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라고 조언을 한다.
이날 우린 술을 꽤 많이 마셨고 집에 와서는
쓰러지듯 잠이 들었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노트북 위에 야구티켓이 올려져있었다.
샤워를 마치고 거실로 들어온 깨달음이 한국에
계시는 이웃님들은 일본에 놀러오면 자기가
맛있는 정종을 한 잔 사드릴테니까
서운하게 생각하지 마시라고 꼭 전해 달라며
불현듯 뭐가 생각났는지 또 중얼거렸다.
[ 일본에 여행 와서 야구장에 가고 싶어하는
사람도 분명 있을 것 같은데.. 근데 주소가 없고,
호텔로 보내드려도 경기 날짜가 안 맞으면,,
역시, 안 되겠다. 일본에 거주하시는
분들에게만 해택을 드릴 수밖에..]
[ 근데,,왜 당신은 매년마다 이 티켓을
블로그 이웃님에게 주라고 해? ]
[ 일본에 사는 동안 여러 군데를 가보는 게
좋잖아, 야구를 안 좋아하더라도 한국과는
다른 경기장도 보고, 경기장에서 파는 음식도
먹어보고 그런 게 재밌지 않아?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 프로에서도 한국 경기장에 가서
서로 응원하고 친구도 만들고 그랬잖아 ]
[ ............................ ]
일본(도쿄)에 거주하고 계시는 분들,
다섯 분께 2장씩 보내드리겠습니다.
주소와 성함을 적어주시면 되구요,
어떤 분께 드릴지는 깨달음에게
선택하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창을 열어 두겠습니다 )
깨달음은 해가 바뀌어도 사고하는 게
전혀 변함이 없고 설득력만 늘어가네요.
글을 쓰는 건 분명 저입니다만, 여러분께 마음과
사랑을 드리는 것은 깨달음 몫인 것같습니다.
'한국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인 남편이 생각하는 부모의 역할 (3) | 2019.05.01 |
---|---|
한국분들이 나를 만나면 꼭 물어보는 질문 (5) | 2019.04.08 |
깨서방이 드리는 선물입니다 (13) | 2019.03.16 |
한국에서 남편의 꿈에 나타난 사람 (1) | 2019.02.28 |
일본에서 한국분들을 만나며 느끼는 것들 (7) | 2019.02.16 |
부모의 자격, 그리고 자식의 아픔 (3) | 2019.01.27 |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
비밀댓글입니다
답글
관리자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댓글입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