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520

애정결핍이라고 하니... 신주쿠역(新宿駅) 개찰구를 나오자 온통 북소리와 경쾌한 음악소리가 도로를 점령한 채 축제열기가 뜨거웠다. 4년 만에 열린 신주쿠 에이사(エイサー) 축제가 있는 줄 모른채로 미션 임파서블을 보기 위해 나왔는데 사람들로 특히 외국인 관광객이 거기를 가득 메우고 있었다. 에이사 축제는 유명한 오키나와(沖縄) 전통행사로 크고 작은북을 치면서 남녀춤꾼들이 오키나와 민속악기인 산신(三線)에 맞춰 거리를 돌며 북과 함께 춤을 추는 축제이다. 둥, 둥 울리는 북소리도 그렇지만 그에 맞춰 절도 있는 춤을 선보이는데 음악도 그렇고 보는 이들도 같이 신명이 나게 만든다. 3시간의 긴 영화를 보고 나온 우린 일단 북소리가 나는 곳으로 가보았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한 팀이 되어 창의적인 춤을 추기도 하고 익살맞은 춤도 추는데 .. 2023. 7. 31.
이혼은 결코 쉬운 게 아니다 깨달음 친구인 타무라 상(田村) 에게 김치를 보낸 건 한 달 전이였다. 늘 그렇듯, 여름이면 여름대로, 겨울이면 겨울대로 일본인 지인들에게 김치를 보내는 것도 10년이 지나가고 있다. 연일 35도를 넘나드는 폭염에 이열치열하도록 칼칼한 김치로 좀 맵게 담아 보냈다. 이번에도 배추, 무, 오이김치 외에 창난젓과 진미채 넣었다. 맛있게 잘 먹고 있다는 문자를 받았는데 그가 맥주를 보내왔다. 깨달음이 보자마자 이 자식은 맨날 술만 보낸다면서 집에서 술 안 마시는데 쓸데없이 보냈다며 투덜거렸다. 대학동창인 타무라 상과는 지금까지도 일 관계로 자주 얼굴을 보는 사이다보니 할 말 못 할 말 다 털어놓은 절친중의 한 명이다. [ 다시 돌려 보내버릴까? ] [ 그건 실례겠지... ] [ 김치 보내준 당신한테 고마워서 .. 2023. 7. 25.
옆 집 아줌마가 보낸 편지와 남편 저녁에 퇴근하고 돌아온 깨달음 표정이 썩 좋지 않았다. 손에 들린 편지를 내게 밀더니 옆집 아줌마가 보낸 거라고 했다. 장마가 시작되던 한 달 전, 각 엘리버이터에 공지된 내용을 보고 바로 발코니 배수로 청소를 했는데 아줌마 편지 내용을 보니 먼지나 쓰레기가 배수로에 쌓여 비가 많이 오는 날이면 막혀서 자기쪽으로 넘어오고 물이 잘 내려가지 않으니 청소를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 깨달음, 우리 지난주에도 청소하지 않았나? ] [ 했지, 내가 지금 가서 얘기하고 올게 ] [ 아니, 잠깐만,,] 말릴 틈도 없이 다시 나간 깨달음이 바로 돌아왔다. [ 없네...] [ 있어도 무서워서 안 열어줬겠지.. 그냥, 우리도 편지를 써서 우편함에 넣어두는 게 나을 것 같은데 ] 깨달음이 귀찮은 표정을 하며 내일 아침에 다.. 2023. 7. 19.
시부모님 1주기, 모든 걸 덮었으면 좋겠다 늘 그렇듯 우린 아침 일찍 신칸센을 탔다. 전날 잠을 설친 탓인지 아침부터 더운 탓인지 유쾌한 기분이 들지 않았다. 서방님에게서 시부모님 1주기를 한다며 날짜를 알려온 온 것은 2주 전이었다. 우리 스케줄도 묻지 않고 통보만 해 오는 서방님의 행태가 마음에 들지 않았지만 그냥 그러러니하자 했다. 시부모님도 두 분 모두 돌아가시고 서방님을 볼 날이 앞으로 얼마나 있겠냐 싶은 것도 있고 언제가 될지 모를 마지막까지 가족으로서 유종의 미를 거두고 싶다는 나만의 인간관계 마무리를 유지하고 싶었다. 나고야에 도착해 버스를 타기 위해 버스터미널로 뛰는데 등에서 땀이 줄줄 흘러내렸다. 깨달음도 땀 범벅이 된 채로 버스에 올라타 바로 쓰러지듯 잠을 청했다. 배가 고파왔지만 점심을 먹을 시간이 없었고 버스안에서 뭘 먹는.. 2023. 7. 10.
부모도 이젠 혼자 살아가야 한다 장마가 끝나고 난 이곳은 매일 습한 공기와 텁텁함이 계속되고 있다. 더위 탓에 입맛이 없어진 건 나뿐만이 아닌 깨달음도 마찬가지었다. 개운한 게 먹고 싶어 찾은 일식집은 한국인 관광객들이 반 이상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요즘은 도쿄 도심뿐만 아니라 변두리까지 관광지로 둘러본다고들 하던데 우린 그들을 보며 젊음이 좋긴 좋다는 말을 했다. 가게 내부를 휙 한번 둘러보던 깨달음이 부모님이랑 같이 관광 온 사람은 한 팀도 없다면서 혼잣말을 했다. 지난주부터 깨달음에게는 고민거리가 생겼다고 했다. 프리랜서로 일하는 아카네(赤根)상이 갑자기 시골로 내려가게 됐는데 그만큼 일을 잘하는 친구를 못 구해서 일이 밀리고 있는 상태란다. 20년 전부터 깨달음 회사 일을 해왔던 아카네 상은 누구보다 3D도면을 잘 치고 일 .. 2023. 6. 28.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밥상 [ 케이야, 잘 있어? 여긴 너무 덥다, 거기도 덥지? 오늘 참외 먹다가 너 생각나서.. 니가 참외 좋아하는데 거기서 못 먹었다고 그랬잖아 ] [ 아니야, 지금은 코리아타운에서 팔아, 근데 요즘 넌 무슨 반찬 해 먹어? ] [ 반찬? 음,,별 거 없어, 그냥 있는 거 먹지] 한국의 가족이나 친구들과 통화를 하면 난 무의식적이라기보다는 습관적으로 같은 질문을 한다. [ 무슨 반찬에 먹었어? ]라고 그러면 누구는 남편이 좋아하는 육개장을 끓여 먹었다고 하기도 하고 누구는 두릅이 많이 나와서 두릅을 삶았다기도 하고 누구는 오징어볶음을 했다기도 하고 또 누군가는 밥 하기 귀찮아 집 근처에서 닭볶음을 시켜 먹었다고 한다. 난 한국에서 돌아온 후부터 무슨 이유인지 체중이 줄고 있다. 더워지면서 입맛이 없어진 게 원.. 2023. 6. 17.
하고 싶은 건 다 하고 사는 남편을 보며 장마가 시작된 도쿄는 오늘도 비가 내렸다. 오전 중에 내리던 비가 오후면 잠깐 개이다가 밤이 되면 추적추적 아침까지 내린다. 주말인 토요일은 잔뜩 흐린날씨이긴 했지만 다행히 비가 오질 않아 나는 깨달음과 한 약속을 지키기위해 약속장소에 미리 나가 쇼핑을 했다. 약속시간 20분 전, 깨달음에게서 역에 도착했다는 메시지가 오길래 서둘러 레스토랑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먼저 쇼코슈(紹興酒 소흥주)로 건배를 하고 깨달음이 먹고 싶다는 메뉴들을 주문했다. [ 오늘은 내 마음대로, 내가 하고 싶은 대로 하는 날인거지? ] [ 응, 당신 하고 싶은 거, 먹고 은 거, 가고 싶은 곳,, 맘대로 하는 날이야, 아버지의 날이니까 ] 일본은 한국처럼 어버이날이 있지 않고 어머니의 날, 아버지의 날이 나눠져 있다. 어머니의 날.. 2023. 6. 12.
지금 일본은 날마다 축제가 열린다 시나가와진자 마쯔리가(品川神社祭り) 이번주에 있을 거라는 건 진작에 알고 있었다. 길거리 곳곳에 붙어 있던 포스터와 신문과 함께 들어오는 지역 정보지에도 4년 만에 열리는 시나가와 마쯔리를 홍보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혼 전, 난 깨달음과 마쯔리 투어를 할 만큼 좋아했는데 언젠가부터 관심이 사라졌었다. 볼 만큼 봤고 즐길 만큼 즐겼다면 건방진 표현이지만 중년이라는 나이가 되고 보니 사람들이 밀집하고 몰려있는 곳에 섞이는 게 불편했다. 축제에 만끽하기 위해 밀려드는 인파속을 헤집고 돌아다니는 게 젊었을 때는 텐션이 올라가고 분위기에 휩쓸려 좋았는데 이젠 늙었는지 사람들과 부딪히고 부비는 게 싫어서 자연스레 피하게 되었고 특히나 인파가 가장 많이 몰리는 하나미(花見 벚꽃구경) 하나비(花火 불꽃놀이) 3대 마.. 2023. 6. 5.
우리의 노후를 남편이 결정했다 아침부터 친구에게서 전화가 왔다. 며칠 전 성남 모란시장 장날에 남편과 함께 다녀왔는데 그날 하루종일 내 얘길 했었다며 날 만난 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 달이 되어간다고 허무하다며 푸념을 늘어났다. 우리 친구들 중에 가장 먼저 할머니가 된 이 친구는 올 해 초, 30년 다녔던 직장을 그만두고 집에서 전업주부를 하기 시작했다. 일 손을 놓지 않고 살았던 탓인지 집에서 가만히 있는 게 어색하기만 하다더니 손녀딸 돌보느라 딸 집에 왔다 갔다 하다 보면 하루가 금세 가버리고 만단다. [ 너랑, 그때 팥죽 먹었잖아, 이번에는 그 옆집에서 먹어봤는데 더 맛있는 거 있지..] [ 칼국수는 안 먹었어? ] [ 남편이 먹었어. 막걸리도 한 잔 하고 ] [ 재밌었겠다 ] [ 우리 남편이 일본 한 번 가보고 싶다고 노래를.. 2023. 6. 1.
일본의 이 문화는 여전히 불편하다 깨달음은 내가 없었던 주말에 빠지지 않고 영화감상을 했단다. 토요일은 아침부터 집을 나서서 상영시간에 맞춰 신주쿠(新宿)에서 시부야(渋谷)로 옮겨가며 보기도 하고 배우 최민식 씨가 주연으로 나온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를 보려고 평일날, 개봉관을 가기위해 퇴근을 일찍하고 유일한 취미생활 즐겼다고 한다. 이번주도 깨달음이 보고 싶어하는 영화를 보기 위해 집 근처 영화관에서 팝콘을 먹어가며 2시간 30분간의 상영시간을 지루함 없이 보고 나왔다. 그리고 근처 라멘가게에서 쯔케멘(つけ麵)을 먹으며 영화후기를 서로 얘기하다 약속이나 한 듯 가게를 나와 암반욕(岩盤浴)을 하러 갔다. 한국의 찜질방과 같은 느낌의 목욕시설인데 한국처럼 다양한 찜질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건 아니고 암반욕과 천연돌이 깔린 방이 나뉘어져 있고 .. 2023. 5. 23.
역시 엄마에겐 딸이 최고다 아침에 눈을 떠 사방을 살피고서야 이곳이 내 방인걸 인식했다. 한국에서 돌아와 2주가 지나가는데 지금도 가끔 잠에서 깨어나면 이곳이 어딘가 엄마집인지, 호텔인지, 제주도인지 착각을 하고 있는 나를 마주한다. 어젯밤 꿈엔 자매들과 함께 어느 바닷가가 보이는 곳에서 커피를 마시다가 장소를 정확히 알 수 없는 산등성이에서 엄마랑 잡담을 하는 꿈을 꿨다. 일본으로 유학오기 22년 전에도 나는 성인이었고 그 당시 언니들은 결혼해서 자녀를 키우는데 바쁜 시기였다. 지금은 자녀들도 하나둘 결혼을 하고 마음적으로 여유로운 시간들을 가질 수 있어 자매들이 모여 같이 자고 같은 공간에서 깔깔거리며 웃음꽃을 피울 수 있는 기회가 좀처럼 많지 않았는데 이번에 내가 합류할 수 있어 같은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그 중심축엔 항상.. 2023. 5. 19.
내가 한국에서 외국인 취급을 당한 이유 난 재래시장을 참 좋아한다. 20대에도 마음이 심란하고 사는 게 무언지 갈피를 못 잡을 때면 자연스레 재래시장으로 발길이 옮겨갔다. 그곳에 가면 농, 수산물을 펼쳐놓고 목청 높여가며 땀범벅이 된 상인들의 얼굴을 보고 있자면 삶의 원동력을 느낀다고나 할까 그분들에게서 나는 진한 사람냄새가 무겁게만 짓누르는 삶의 무게를 잠시나마 잊게 해주곤 했다. 그래서 나는 서울에서 한 달 살기를 하면서도 시간만 나면 시장투어를 했다. 서울에서는 청량리시장,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을 갔고 수원에 친구를 만나 모란시장까지 다녀왔었다. 제주도에서는 민속시장과 동문시장을 광주에서는 말바우시장을 갔다. 지역마다 취급하는 물건들도 다르지만 상인들, 그리고 그 시장을 찾는 사람들의 색깔도 다양해서 볼거리가 많은 만큼 다가오는 체감도.. 2023. 5. 12.
궁금한 게 너무 많은 남편 5월 6일, 쯔키지( 築地)수산시장에서 열리는 봄축제 마지막날이었다. 내가 일본으로 돌아온 날부터 이미 황금연휴가 시작되어 있었지만 우린 집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편히 쉬는? 시간들을 보내다가 축제 마지막날은 아침 일찍 나갔다. 이 날은 외국인, 내국인들이 넘쳐날 게 분명해서 오픈시간보다 10분 빨리 도착할 수 있게 전철을 탔다. 주변 도로엔 외국인들을 태운 관광버스가 즐비하게 주차되어 있었고, 전 세계의 관광객이 쯔키지 시장으로 들어오고 있었다. 우린 구입할 것들을 미리 체크해 둔 덕분에 헛걸음하지 않고, 사람들이 줄 서기 전에 모든 걸 구입할 수 있었다. 살만한 것들을 모두 사고 한 바퀴 돌아왔더니 그 사이, 다코센베(たこせんべい) 집 앞엔 길다린 줄이 생겼고 동영상과 사진을 찍으려는 관광객들.. 2023. 5. 8.
남편의 무리한 부탁을 들어줬다 내일이면 다시 일본으로 돌아간다. 먼저 돌아간 깨달음과는 날마다 통화를 하며 식사는 잘하고 있는지 회사는 별 탈 없는지 무슨 일이 생기진 않았는지 극히 일상적인 대화를 하루도 빠짐없이 나눴다. 내가 혼자 음식을 먹을 때나 새로운 장소를 갈 때면 실시간으로 사진이나 영상을 찍어 보내서인지 거리상으론 떨어져 있지만 전혀 멀리 있음을 체감하지 못했다. 그리고 매번 먹고 싶은 게 있는지 물으면 생각해 두었던 것들을 말하기도 하고 내가 사진을 보내면 깨달음이 먹고 싶은 걸 콕 집어서 말하곤 했다. 지난주 제주도 동문시장에서는 맛있게 생긴 약과를 사갈까 했는데 오란다가 맛있게 보인다길래 약과와 함께 사서 택배로 보냈다. 약과나 오란다보다는 한라봉을 너무 먹고 싶어 했지만 농산물은 규정상 해외발송이 되지 않기 때문에.. 2023. 5. 2.
10년간 언니에게 민폐를 끼쳤다 깨달음이 일본으로 돌아가고 난 후, 나는 매일처럼 청국장과 된장찌개를 번갈아 먹으며 아침을 시작했다. 일본에서 가장 먹고 싶었던 청국장이었던 만큼 날마다 한 끼씩 먹는데도 아직까지 물리지 않았다. 오늘은 뭐 먹었냐고 내 끼니를 걱정해 주는 자매들에게 청국장 사진을 올리면 날마다 청국장만 먹고 다니냐며 핀잔을 듣긴 하지만, 한국에 있는 동안은 누가 뭐래도 계속해서 먹을 생각이다. 일본에서는 먹어도 먹어도 채워지지 않는 마음의 허기 같은 게 있었다.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더불어져 좀처럼 메워지지 않았던 허허로움을 된장찌개와 청국장으로 채워가고 있다. 어느 날은 시장에 들러 번데기를 한 컵 사서 컵 채로 입에 털어 먹기도 했다. 깨달음이 유일하게 못 먹는 한국 먹거리 중에 하나인데 난 가끔씩 먹고 싶을 때가 .. 2023. 4. 23.